미디어리터러시

Media literacy(미디어 리터러시) 심리학 – 사회학과 심리학과 세특주제

오늘의주제 : 심리학과 교육학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문화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매일매일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며 정보를 습득하고, 문화를 형성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합니다.

미디어리터러시

이러한 미디어 환경에서 우리는 미디어 소비자로서 능동적인 태도와 비판적인 사고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제는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가 중요한 개념이 되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미디어 : 일반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주고받는 의사소통의 매개체를 뜻합니다.​

미디어 학자 맥루한(M. McLuhan, 1911~1980)은 일찍이 미디어를 ‘인간의 확장’이라고

정의하면서 중추신경 및 감각기관의 확장으로 정의하기도 하였습니다.

​미디어는 어떤 기기를 뜻하기도 하지만 의미를 담은 텍스트나 내용물을 뜻하기도 합니다.



리터러시 : 문자시대에 생긴 용어로 ‘문해력’ 이라고 해석합니다.

​이는 대중이 글을 읽고 쓰는 문해능력을 설명하기 위해 생긴 용어입니다.

​특정한 미디어를 중심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그 미디어의 언어와 문법을 알고,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는 취지의 용어입니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 : 미디어가 전달하는 정보나 문화 콘텐츠에 적절히 접근하며,

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미디어를 활용하며 의미 있는 정보와 문화를 생산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및 윤리적으로 책임있게 미디어를 이용하는 태도입니다.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는 개인의 심리적인 요인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우리는 미디어를 소비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자아 개념, 정서, 인지 능력 등

다양한 심리적인 측면을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미디어 콘텐츠를 보고 나면 우리의 감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어떤 인지적인 과정을 거치며

정보를 받아들이는지 등을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학적인 이해는 미디어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는 교육학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개념입니다.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습득하고, 사회적인 가치와 관념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포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미디어 소비의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함으로써 허위 정보에 속지 않고,

다양한 시각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도와줍니다.

유네스코의 리터러시 기준

유네스코(UNESCO)는 리터러시란,​

“다양한 맥락과 연관된 활자화된 내용을 접했을 때 이것을 증명 하고, 이해하고, 해석하고, 창조하고, 의사소통하고,계산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고,“개개인 이 목표를 달성하고,지식과 잠재력을 개발하며 그들이 속한 공동체와 더 큰 사회 공동체에서 완전한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러한 능력은 일련의 학습을 통해 가능하다”고 하였는데

​후자의 개념은

리터러시의 전통적 개념에 사회적, 비판적 개념을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령층에 따라 심리적으로 작용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뉴스와 현재 이슈

​다양한 신문 기사, 뉴스 방송, 온라인 뉴스 사이트 등을 통해 현재의 이슈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시각을 이해하고, 허위 정보와 진실을 구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는 현실의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역사, 과학, 문화,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다큐멘터리를 시청함으로써 사실에 기반한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관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화와 드라마

영화와 드라마는 이야기와 캐릭터를 통해 다양한 주제와 가치관을 탐구합니다.

다양한 장르와 스토리라인을 가진 영화와 드라마를 감상하면서 감정을 공감하고, 이야기의 의도와 메시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콘텐츠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접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사람들의 경험, 의견, 창작물 등을 공유하는 콘텐츠를 살펴보면서 다양한 시각과 의견을 접할 수 있습니다.

문학과 예술

문학 작품, 시, 그림, 사진 등 예술적인 콘텐츠는 다양한 형식과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예술적 감성을 키우고, 다양한 시각과 해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필요성

미디어를 받아들이는 부분에서은분명한 양극화가 발견된다.

긍정과 부정

우리는 미디어를 보고 이러한 감정을 느낀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경쟁구조에서는 거대자본의 목적대로 미디어는 생산되고 시장의지배력은 상승됩니다. 따라서 콘텐츠의 공정성은 언젠가부터 의심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얻을 수 있는 환경에서 개개인의 바라보는 능력을 키우는것이 근본적인 도덕성을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 현실적일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과 훈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방법

미디어 리터러시는

심리학과 교육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우리가 미디어 환경에서 더 나은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개인의 심리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가치 형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우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비판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미디어 활용 능력을 함께 갖추어야 합니다.

융합과제의 연결

심리학과 전공과 사회학, 또는 교육학 전공자의 통합사회, 심리학관련 연관 콘텐츠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자유주제로 진로와 사회현상의 탐구로 자율세특에도 가능하겠네요​

리터러시는 우리가 익숙하게 아는 개념입니다. 이를 다른과목과 연결하여 다른시각으로의 접근 ​

특히 교육학에서 왜 필요하고 현대 미디어는 이미 균형이 흔들리고 사용자의 올바른 인식을 통해

심리적인 부분의 교육을 꾸준히 진행하는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결론

참고링크

https://j-kagedu.or.kr/upload/pdf/kagedu-12-6-195.pdf

함께보면 좋은글

https://spinel.world/%ed%99%98%ec%9c%a8%ec%97%90%ec%84%9c-%ec%9b%90%eb%8b%ac%eb%9f%ac%ec%99%80-%eb%8b%ac%eb%9f%ac%ec%9b%90-%eb%ac%b4%ec%97%87%ec%9d%b4-%eb%a7%9e%eb%8a%94-%ed%91%9c%ed%98%84%ec%9d%bc%ea%b9%8c/

One thought on “Media literacy(미디어 리터러시) 심리학 – 사회학과 심리학과 세특주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