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물리학과 세특보고서 – 양자물리학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

2024 물리학과 세특보고서 – 양자물리학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플래시 메모리)

 

이번 자료는 양자물리학에서의 반도체 플래시메모리 이해와 플로팅게이트 트랜지스터의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물리학과, 컴공, 전자공학과 진로의 학생들 세특주제로 참고하세요

  • 탐구주제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구조, 작동 원리 및 애플리케이션에 초점을 잡고 학술논문과 도서를 바탕으로 준비합니다.

대부분의 실험은 대학원 이상과정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현재 고등학교에서 실험을 바탕으로 진행은 어려운 부분이 있기에 최대한 이론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절연체 사이의 게이트 역할과 플로팅 게이트에서 전하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 터널링 효과는 교과과정에서 심화탐구 부분으로 넘어가서 확장된 탐구능력을 보여주고 터널링 효과와 플래시메모리의 역할에 대해서 자료를 찾고 심화한다

 

  • 트랜지스터 개요

트랜지스터는 전자 신호를 증폭하거나 전환하고 현대 전자 회로의 빌딩 블록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전자 장치치로 반도체 내의 도체와 부도체 사이를 제어하며 전류흐름을 예상된 로직에 의하여 작동합니다.

 

  •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란?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Floating Gate Transistor)는 일종의 반도체 소자로,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기술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인 메모리 소자와 달리, 전기적으로 특정 값을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가 남아있는 동안 양자 터널링 기술을 사용하여 기억된 값을 읽고 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는 프라시스(Prairie)및 프리사일(Presale)과 같은 초창기 기업들의 비휘발성 메모리 칩에 주로 적용되었습니다.

최근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충분히 축적된 기술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부동 게이트 트랜지스터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 특히 플래시 메모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원이 없는 경우에도 전하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데이터 보존이 보장됩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구조, 작동 원리 및 전하 저장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양자물리학에서 응용된 대표적인 제품이고, 광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개념으로 확대해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구조:

다음의 4개의 구조로 나누어서 설명됩니다. (소스, 드레인, 게이트, 절연층 및 플로팅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은 일반적으로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재료 내의 도핑된 영역입니다.

그들은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류 흐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스는 전자나 정공이 트랜지스터로 들어가는 영역이고 드레인은 그들이 나가는 영역입니다.

 

  • 게이트

게이트는 트랜지스터의 제어 요소 역할을 합니다. 금속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합니다.

게이트에 전압을 가하면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채널 특성이 변경되어 전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절연층(격리벽):

절연층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절연을 제공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게이트와 플로팅 게이트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 접촉을 방지하여 플로팅 게이트에 저장된 전하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절연층은 이산화규소(SiO2) 또는 질화규소(Si3N4)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 플로팅 게이트:

플로팅 게이트는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특징입니다. 절연층에 의해 다른 부품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전도성 영역입니다.

플로팅 게이트는 일반적으로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전하를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플로팅 게이트는 제어 게이트에 인접하고 채널 영역과 약간 겹치는 절연층 사이에 위치합니다.

플로팅 게이트에 전하를 저장하는 기능은 트랜지스터의 전도 특성을 수정하고 이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작동에 필수적입니다.

플로팅 게이트에 저장된 전하량을 제어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임계 전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차례로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영향을 미쳐 트랜지스터가 메모리 셀 또는 다양한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의 스위치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전반적으로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고 플로팅 게이트에 전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플래시 메모리, EEPROM 및 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양자 터널링 현상:

양자물리학에서 양자터널링은 양자역학에서 설명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양자물리학에서는 입자나 원자가 장벽을 통과하는 것을 확률적인 현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확률을 계산해 낼 수 있습니다.

양자물리학에서는 양자터널링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양자물리학의 이론에 따르면, 전기전자 현상에서 전자는 원자핵을 통과할 수 있는 장벽을 가집니다.

이러한 장벽은 전자가 충분한 움직임(에너지)을 가지고 있다면, 전자는 장벽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양자물리학에서 양자터널링이 일어나는 원리와 비슷합니다. 또 다른 예로는 양자점퍼 현상이 있습니다.

이는 양자역학에서 예측되는 현상으로, 입자나 원자가 장벽을 통과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 경우에는 개별 입자가 정해진 장벽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양자체계들 사이에서 특정 상태로의 도달 확률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양자물리학에서의 양자터널링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되지만, 사실상 일어날 수 있는 확률적인 현상으로 이해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양자 터널링은 입자가 고전적으로 이를 극복할 충분한 에너지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전위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와 관련하여 전자는 얇은 절연층을 통과하여 전하 저장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 플로팅 게이트 전하 저장 메커니즘:

이동가능한 높은 에너지의 전자의 경우 절연층을 통해 터널링되어 플로팅 게이트에 갇힐 수 있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트랜지스터의 임계 전압을 수정하여 전도성 특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갇힌 전자의 수를 제어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조정하여 이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플래시 메모리로 이론을 설명해봅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는 USB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및 디지털 카메라에 널리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인 플래시 메모리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플래시 메모리는 고밀도 데이터 저장 및 뛰어난 내구성 특성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인 이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플래시 메모리는 반도체 기술에서 사용되는 저장매체 중 하나로,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floating gate transistor)라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는 MOSFET (Metal-Oxide-Silicon-Field-Effect-Transistor) 에 기반합니다. MOSFET은 납땜되어있는 게이트와, 이에 근접한 부분에 배치된 채널이 있습니다.

채널의 전류 전달을 설명하는 전하의 양을 제어하는 게이트의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MOSFET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로직 전송 장치입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에서는 MOSFET 외부에 누출 전원을 주어 게이트와 채널 사이에 부가적인 농축 음극(-) 인가가 형성됩니다.

이전 공정을 통해, 게이트와 차단층 사이에 비밀 저장소 게이트를 설치합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게이트와 비트라인사이의 채널에 일종의 전기양자 배치합니다. 비밀 저장소 게이트가 고립되면 전하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전하가 균일한 분포를 유지하고, 따라서 임의의 금속째를 건너 통과시킨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농축 전하가 있습니다. 이는 다시 비트 라인에 축적됩니다.

전하가 기록되면 후반 공정이 전류를 재생산하고, 하나의 고리를 갖는 카스케이드 PMOS를 사용하여 전도된 컨트롤 라인 전도소자와 함께 비트 라인에 연결됩니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인 로직 회로를 사용하여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도 있는 과정도 사용합니다.

이러한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매우 가볍고, 반송파를 방해하지 않으며 전력 소비가 적어, 모바일 기기나 카메라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EEPROM 및 EP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은 비휘발성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다른 변형입니다.

이러한 메모리 유형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재프로그래밍 가능성과 데이터 보존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외에도 몇 가지 새로운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은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원리를 활용합니다.

여기에는 RRAM(Resistive RAM), PCM(Phase-Change Memory) 및 STT-RAM(Spin-Transfer Torque RAM) 등이 차세대 플래시 메모리로 연구중입니다.

위 기술은 광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작동원리를 적용한 적용한 사례이고 아직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지속적으로 개발중입니다.

 

  • 해결해야할 부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트랜지스터 크기를 줄이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의 소형화에는 전하 누설 및 간섭과 같은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양자터널링의 이론으로 절연체를 넘어가는 전자들이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통제하는것이 기본적으로 해결해야할 부분이며, 그에따른 전도율과 플래시메모리의 처리속도와 수율에 대한 안정적인 생산구조를 구축하려면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이후 인공지능으로 넘어가는 시대에는 더 많은 메모리와 빠른 처리속도가 요구되기에 양자물리학을 통한 차세대메모리의 개발은 필수적입니다.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최신 전자 장치의 데이터 저장 및 검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구조, 작동 원리 및 전하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 터널링 효과를 이해하는 것은 메모리 기술의 추가 발전과 혁신적인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첨부자료

양자점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뉴로모픽 소자 연구_

광 검출 및 정보 저장이 가능한 플로팅-게이트 트랜지스터 개발

백과사전, 양자터널링 연구리뷰

 

One thought on “2024 물리학과 세특보고서 – 양자물리학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