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S / ROI 마케팅전략 – 2024광고 마케팅 전공 세특


ROAS / ROI의 의미를 알아보고 마케팅에서의 적용방법을 살펴봅니다.

이미지출처 : https://www.is.com/glossary/roas-return-on-advertising-spend/

요약정리

최근 많은 기업들이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마케팅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켰다. 마케팅 전략의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측정 가능한 결과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ROAS(Return on Advertising Spend)는 기업이 광고에 투자한 금액 대비 광고 수익을 측정하여 마케팅 투자의 효율성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ROAS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고, 실제 기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ROAS가 마케팅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 ROAS의 정의
  • ROI의 정의
  • ROAS와 ROI의 차이
  • 마케팅에서의 중요도
  • 실제 적용사례
  • 마무리


ROAS의 정의

ROAS란 Return on Ad Spend, 즉 광고비 대비 광고 수익을 의미합니다. 광고를 진행함으로써 얻은 수익이 광고를 진행하는 데 사용한 비용보다 높은 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광고가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비용과 이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수익 사이의 균형을 나타냅니다.

ROAS는 광고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ROAS가 높을수록 광고가 잘 되고 있는 기업이며, ROAS가 낮을수록 광고가 효과적이지 않은 기업입니다. ROAS 지표는 광고비 외에도 광고홍보 비용 등의 부가적인 비용까지 모두 반영하여 광고비 대비 얼마나 많은 수익이 발생하는가를 나타내게 됩니다.

ROAS는 광고 캠페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캠페인의 성과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므로, 광고 및 마케팅 전략수립과 실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광고 캠페인의 목적과 예산을 고려하여 ROAS를 계산하면, 기업은 적절한 성과 향상 전략과 적정한 예산을 설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ROI의 정의

ROI는 Return on Investment, 즉 투자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기업이 특정 투자를 통해 얻은 이익이 해당 투자를 진행하는 데 사용한 비용에 비해 얼마나 높은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I는 매출에 대한 전반적인 이익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ROI는 광고 수익 외에도 변동비, 인건비, 간접비 등의 여러 인자를 고려해 산출하는 지표로, 기업의 이익도 함께 고려합니다. 따라서 ROI가 높을수록, 투자를 진행한 기업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OI = (수익 – 비용) / 비용 여기서 비용은 해당 투자에 대한 총 비용, 수익은 해당 투자로 인해 발생한 총 이익입니다. ROI의 값은 음수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해당 투자로 인해 손해를 본 것을 의미합니다.

ROI는 일반적으로 투자의 긴 기간성을 고려하여 측정하며, 효과적인 투자 결정과 투자 성과를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업이 특정 투자에 대한 ROI를 고려하여 투자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전략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ROAS 와 ROI의 경영 마케팅에서의 차이점

ROI (Return on Investment)와 ROAS (Return on Ad Spend)는 비슷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ROI는 기업이 투자한 총 비용 대비 총 수익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ROAS는 광고 비용 대비 광고 수익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둘의 차이점은

ROI는 광고 비용 외에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광고와 관련된 모든 비용, 예를 들어 인건비나 물류비용 등도 고려합니다.
반면 ROAS는 광고 비용만을 고려합니다.

ROI는 매출에 대한 전반적인 이익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므로, 기업이 영업 비용의 총 효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ROI는 광고 수익 외에도 변동비, 인건비, 간접비 등의 여러 인자를 고려해 산출하는 지표로, 기업의 이익도 함께 고려합니다. RO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OI = (수익 – 비용) / 비용

ROAS는 광고 비용 대비 광고 수익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광고 자체가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측정하기 때문에 ROAS는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ROA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OAS = (광고 수익 / 광고 비용) x 100

즉, ROAS는 광고 수익을 광고비로 나눈 값을 100배한 것입니다. 결국 ROAS는 광고 캠페인의 효율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며, 기업이 광고 캠페인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케팅에서의 중요도

ROAS와 ROI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그 의미와 측정 방식이 다릅니다. 따라서 ROAS와 ROI는 각각의 상황에 맞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어떤 지표가 더 중요한지는 기업의 목표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ROAS는 특정 광고 캠페인에 대한 비용 대비 수익률을 측정하여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ROAS는 광고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므로, 광고 캠페인이 비용 대비 수익을 생성하고 있는 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AS가 높다는 것은 광고에 사용한 비용 대비 수익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광고 기간 동안의 성과를 보면서 캠페인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반면, ROI는 기업 전체적으로 특정 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ROI는 해당 투자의 총비용과 수익을 고려하기 때문에, 단순히 광고뿐만 아니라 조직의 다른 부분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경우 ROI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ROI는 해당 투자가 기업의 전략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 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ROAS와 ROI는 모두 기업의 비즈니스 성과를 평가하고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둘 중 어떤 지표가 더 중요한지는 기업의 목표와 상황에 따라 다르며, 두 지표를 조합하여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실제 기업에서의 ROAS사례


국내기업

한국 기업에서도 ROAS를 활용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많은 기업들이 ROAS를 중요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1. 쏘카

쏘카는 전기차 카셰어링 산업에서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쏘카는 이용자의 차량 사용 시간대 및 이용자 경로 정보를 수집하여, 특정 구간에서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ROAS를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쏘카는 특정 구간에서 광고를 노출시켰을 때 얼마나 많은 이용자가 쏘카를 이용하였는지를 파악하며, 광고비 대비 이용 현황에 대한 ROAS를 계산하여 광고 전략을 최적화합니다.

2. 쿠팡

쿠팡은 국내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몰입니다. 쿠팡은 자사의 광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ROAS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쿠팡은 입점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광고 비용을 측정하여 해당 상품이 존재하는 카테고리와 광고 비용 대비 판매 비율을 분석하며, ROAS를 계산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쿠팡은 수익성이 높은 상품과 광고 채널을 선택하여 매출 확대를 추진하게 됩니다.

3. 네이버

네이버도 ROAS를 활용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합니다. 네이버는 제휴 광고주의 광고 노출 후 발생한 매출 대비, 광고 비용 대비 매출 비율인 ROAS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광고 주기를 조정하거나 광고 방식을 개선하는 등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합니다.


해외기업

많은 기업들이 ROAS 지표를 활용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전자상거래 산업에서 ROAS를 활용한 사례가 많이 보입니다. 대표적인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과 어도비의 ROAS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아마존

아마존은 자사에서 판매하는 제품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광고하기 위해 ROAS 지표를 활용했습니다. 아마존은 특정 제품에 대한 광고를 진행할 때, 해당 제품이 얼마나 판매되는지를 감안하여 ROAS를 계산합니다.

광고비 대비 판매 수량이 높다면 ROAS가 높아지고, 광고비 대비 판매 수량이 낮다면 ROAS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를 통해 아마존은 특정 제품에 대한 광고가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파악하고, 광고 전략을 세우게 됩니다.

2. 어도비

어도비는 자사의 마케팅 캠페인의 ROAS를 계산하여 더욱 효과적인 마케팅 기획 방향을 수립했습니다. 어도비는 광고를 진행하면서 발생한 매출 중, 어떤 광고 채널에서 얼마나 발생한 매출인지를 계산하여 ROAS 지표를 도출합니다.

이를 통해 어도비는 특정 마케팅 채널이 가장 효과적인 채널인지를 파악하고, 예산과 마케팅 전략에 대한 결정을 내립니다.


마무리

온라인 기업에서의 마케팅 전략에서 ROAS의 개념은 필수입니다. 팬더믹 이후 전자상거래 업체의 급성장은 ROAS의 전략을 바탕으로한 마케팅 기획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경제 경영 마케팅 기획 부분의 전공을 준비하는 수험생은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여 통합사회, 진로보고서, 자율보고서에 응용하여 작성하시면 좋은 콘텐츠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08463

https://www.oracle.com/kr/cx/marketing/marketing-roi/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