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농경제학과 세특주제 – 기후위기 식량안보 탄력적농업

농경제학과 세특보고서(기후위기)

기후위기와 식량생산의 입장에서 작성하였습니다.
농경제학과 기후위기

*이미지 : 픽사베이

주제

식량 안보를 위한 기후 탄력적 농업(CRAFS) 프로젝트는 유엔이 식량 농업 기구(FAO), 세계 식량 계획(WFP) 및 기타 국제 파트너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기후 변화 영향에 취약한 지역에 주로 초점을 맞춘 CRAFS는 농업 탄력성을 강화하고 식량 생산을 개선하며 취약한 지역 사회의 식량 안보를 보장하는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목표

기후 변화 및 관련 과제에 대한 소규모 농민 및 농촌 지역 사회의 지속적 회복력 강화

기후에 민감한 농업 방법의 채택을 통해 농업 생산성과 식량 안보

자연 자원과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토지 및 물 관리 시스템 개선

장기적인 식량생산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역량 강화 및 지식 공유를 강화

실행과정

  • 기후 스마트 농업 교육(CSFT):

CRAFS 프로젝트는 농부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기 위해 포괄적인 기후-스마트 농업 훈련(CSFT) 프로그램을 실시합니다.

FAO와 지역 농업 기관의 전문 트레이너들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 대한 교육을 제공( 기후 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 고유의 취약성을 이해합니다.)

농작물 다양화, 인터크롭 및 혼합 농업 시스템을 포함한 기후 스마트 실천의 구현.

빗물 집수 및 점적 관개와 같은 효율적인 물 관리 기술.

산림 및 테라스와 같은 지속 가능한 토양 보존 방법.

화학 물질 투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충 및 질병 통합 관리.

첨부문서 : 기후스마트농업의 동향과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기후 스마트 농업교육 시연을 통한 참여유도

CSFT를 강화하기 위해 CRAFS 프로젝트는 대상지역 참여자들에게 프로젝트 시연을 실시함

이러한 장소는 기후 탄력적인 관행의 실제적인 적용을 보여주며, 해당지역의 인프라와 생산을 위한 지원계획 수립함

시연에는 기후 탄력적인 작물 품종의 재배, 유기적인 농업 방법 및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의 사용이 포함됩니다.

  • 기후정보 및 데이터 취합

의사 결정을 위한 기후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한 CRAFS는 기상 기관과 협력하여 재배에 대한 기상 정보 서비스 및 자문 지원(WISAS)을 개발합니다.

WIS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인공지능을 통한 사전예측 기후자료를 제공하여 일정하지 않는 기후에 대한 변동모델을 제공합니다.

  • 참가농민에 대한 지원강화

이 프로젝트의 참가하는 농민에게 다양한 세제혜택 및 생산물에 대한 판매권한을 제공합니다.

          기관에서는 해당 농작물의 수확물을 매입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 지속 가능한 토지 및 물 관리:

CRAFS는 자연 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토지 및 물 관리를 강조합니다.

여기에는 침식 및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재림 노력, 유역 관리 및 토양의 성분등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데이터 확보를 목적으로 합니다.

모니터링 및 평가

CRAFS 프로젝트는 진행 상황과 영향을 추적하기 위해 강력한 모니터링 및 평가(M&E) 시스템을 채택합니다.

M&E 지표에는 농작물 수확량 변화, 가정 식량 보장, 소득 수준, 기후 스마트 관행 채택 등이 포함됩니다.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수집되고 프로젝트 개입을 조정하고 정교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참여단위의 확대

CRAFS는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 정부, 지역 조직, NGO 및 민간 부문과 적극적으로 협력합니다.

국가 기후 및 농업 전략과 일치함으로써, 이 프로젝트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기후 탄력적인 농업생산력의 증대를 목표로 하고 다양한 파트너의 참여를 통해 프로젝트의 데이터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합니다

프로젝트 지속 가능성

연장 근로자 및 협동조합 단위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진행을 우선순위로 정합니다.

또한 CRAFS는 국가 농업 정책에 영향을 미쳐 주류 농업 개발에 기후 탄력적인 원칙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전세계적으로 탄소배출 2050 아젠더가 이루어지기 전에 기휘위기는 다가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구의 증가를 식량생산이 따라가지 못하는 부분에 대하여 농업부분의 스마트기술을 적용해서 기후에 맞는 탄력적인 생산이 이번 과제의 목표입니다.

참고자료  : UN에서 식량위기 관련 조치사항에 대한 아젠더 10가지입니다.

  • 지속 가능한 농업에 투자: 환경 친화적이고 탄력적이며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관행을 촉진하고 지원합니다. 여기에는 농생태학적 접근법, 유기농법, 보존 농업이 포함됩니다.
  • 소규모 농가의 역량 강화: 소규모 농가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자원, 교육 및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식량 생산이 증가하며 지역 사회의 식량 안보가 증진될 것입니다.
  • 사회 안전망 강화: 식량이 불안정한 시기에 취약 계층을 지원하는 대상 사회 프로그램을 구현합니다. 여기에는 현금 이체, 식품 바우처 또는 보조 식품 배급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연구 및 개발 지원: 작물 품종을 개선하고, 해충 및 질병 저항성을 강화하고, 변화하는 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기후 스마트 농업 관행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투자합니다.
  • 음식물 쓰레기 및 손실 감소: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체에서 수확 후 손실 및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구현합니다.
  • 수자원에 대한 접근성 개선: 농업용 물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빗물 수확, 관개 기술, 물 효율적인 농업 방법과 같은 지속 가능한 물 관리 관행을 개발합니다.
  • 책임 있는 무역 정책 촉진: 공정하고 공평한 거래 관행을 보장하면서 국경 간 식품 이동을 촉진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 왜곡을 방지하고 적자 지역의 식량 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식단의 다양화: 영양을 강화하고 몇 가지 주요 작물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전통 및 지역 재배 식품을 포함하여 균형 잡힌 영양가 있는 식단의 소비를 촉진합니다.
  • 국제 협력 촉진: 세계 식량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식, 기술 및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을 장려합니다.
  • 기후 변화 완화 및 적응: 기후 변화가 농업 및 식품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고 적응 전략에 투자하기 위한 조치를 구현합니다.

https://www.fao.or.kr/html/storage/news.php?sno=0&group=basic&code=B31&category=&&abmode=view&no=8389&bsort=&bfsort=

첨부문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년 학술논문

Impacts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on Food Supply

정리하며

식량위기와 대체식품에 관련된 보고서는 내용의 다양화 되어서 업로드 되어있습니다.

키워드는 대체식품관련해서 작성하는것도 방법이고

기본적인 기후위기 풀이도 가능합니다.

기술적은 스마트농업에 대한 UN차원에서의 대응방법등 가능하고

확대하여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궁극적인 식량위기 및 터키의 입장(지정학적)을 사회관점으로 풀이해도 좋습니다.

위 내용으로는 추가 요약해서 업로드 하겠습니다.

https://search.kyobobook.co.kr/search?keyword=Climate%20Resilient%20Agriculture%20for%20Ensuring%20Food%20Security&gbCode=TOT&target=total

세특 기획수업 상담 카카오톡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