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런

2024 경제학과 시사상식 – 실리콘밸리뱅크(SVB)파산 설명(뱅크런)

실리콘밸리뱅크(SVB) 파산이유(뱅크런)

 

경제학과 시사상식 : 뱅크런이란 무엇인가?

SVB 파산] 다음 차례는 어디냐...비보호 예금이 많은 은행들--WSJ | 블록미디어

뱅크런(Bank-run) 이란 고객이 말 그대로 은행에 달려가서 본인들의 예금을 일시적으로 인출요구하는 현상이다.

<대규모 은행 인출사태>로 표현합니다.

 

뱅크런이 발생하는 기본구조를 설명합니다.

먼저 은행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신용창출이라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돈을 집에 보관하지 않고 은행에 예금하는 이유는 안전하다는 믿음입니다.

한국의 경우 은행이 파산할 경우 예금자 보호법에 의거 5000만원까지 보호가 됩니다. (이 금액 안에서는 내 예금은 정부에서 보증해준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누구도 그 이상의 예금을 예치하여도 은행이 파산할 것이라는 생각은 안합니다. 그것이 신용이라는 것입니다.

은행은 고객의 예금을 예치하고, 반대로 자금이 필요한 고객에게 대출을 해줍니다.

즉, 예금이자는 3%를 지급하고, 대출로 6% 실행하면 은행은 3%의 이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이 계산은 부대비용 제외 기본원리만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이것이 <예대마진>이라는 금융용어입니다.

그러나 은행자본이 불안하다? 은행에서 대출을 해준 사람들이 연체를 한다? 이러면 내 예금을 지키기 위해 먼저 인출을 시도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그것이 이번에 실리콘밸리뱅크의 사태라고 해석됩니다.

 

실리콘밸리뱅크(SVB)의 발생원인

이번 이슈는 08년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와 차이가 있습니다. 당시에는 자격이 안되는 사람들에게 담보가치를 초과한 대출을 경쟁적으로 하였고 상환이 안되어 부실채권이 촉발되어 발생된 내용입니다.

그러나 이번 실리콘밸리뱅크는 이와 다른 상황입니다.

실리콘밸리라는 스타트업, 신기술투자업의 기업들이 주 고객인 은행에서 일시에 출금이 진행되었습니다.

원인으로는 은행에서 미국채 10년이상 장기채권을 매입하였습니다.(참고로 국채는 만기까지 보유하면 원금+이자를 받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품입니다.)

그러나 미국정부의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하여 금리인상을 하였고, 채권의 현재가치가 하락을 하였습니다. (물론 만기에는 이상없습니다)

더 쉽게 설명하면 다음의 그림으로 설명됩니다.

채권과 금리관계

출처 : 쿼터백 사이트

기준금리가 상승하여서 채권가격이 하락한 것이죠

따라서 은행에서 투자한 채권가치가 하락하였고, 이는 은행보유자산의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부분이 불안하게 생각하였고, 미디어의 힘은 상상을 초월하였습니다.

순식간에 모든 사람들이 은행으로 찾아오지않고 인터넷뱅킹으로 일시적 인출을 시도하였고, 은행은 대응하지 못하여서 파산이 된 것입니다.

보유자산과 예수부채간의 뚜렷한 만기불일치와 투자자산의 집중화, 미국 연준의 은행감독 실패 등을 SVB 파산의 주요 원인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모바일 폰뱅킹과 SNS사용의 일상화는 SVB 파산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은행이 파산에 이르는 속도를 경이적으로 증가시켰음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국정부에서의 대응책

정부에서는 체계적인 파산절차를 진행하였고, 모건스탠리(미국의 최상위 투자은행)에서 개입하여서 정리를 하였습니다.

예금전액 보호를 보장하였고 은행에 대한 특별유동성공급조치(BTFP)를 통하여 긴급자금을 지원하여 예금인출을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은행에서 투자하였던 미국채10년물 이상 장기채권에 대한 원금보장 조치를 통해 , 현재 평가가치가 하락한 만큼 지원하였습니다.

 

은행파산에서의 교훈

언제든지 파산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부실자산에 투자하지 않아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미국채에 투자한 결과 파산이 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경제학과와 경영학과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의 시장전망을 통해 과거에 발생된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미래기업의 방향을 설정해야합니다.

경제는 지속성장 원칙을 목표로 하고, 최근에는 ESG등 다양한 부분으로 더 효율적, 친환경적으로 책임있는 경영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세특주제를 찾을 경우 이러한 과거사례를 교훈으로 미래지향적인 경제경영 보고서를 통계적 관점과 사회부분, 고급경제에서 풀이해나간다면 좋은 콘텐츠가 될 수 있습니다.

 

 



관련링크 : 자본시장연구원 정기간행물

실리콘밸리이슈정리(자본시장연구원 정기자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