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세특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2024경제경영 생기부 – 자기평가서 작성법

디플레이션의 개념을 알고계신가요?

경제경영학과 합격비결은 많은 이론보다는 하나의 이론을 정확히 알고 넘어가자!

​이 전략은 과거부터 지금까지100% 성공한 전략입니다.

​어느정도 흉내내는것이 아니라 정말 덕후의 모습이필요합니다.

많은 콘텐츠가 있겠죠

​물가, 금리, 환율, 경기순환 그래프해석,전통경제,기업가경영, 6시그마, ESG경영전략, 전략적 재무투자유치등

​너무나 많습니다.

해당진로의 학생들은 한번에 많은 보고서를 담는것보다 꾸준히 토론 및 PPT발표로 학교교과와 연결하여 발표하세요

​그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입니다.

디플레이션

위 그림을 볼까요?

​벌써 보고서의 주제가 5개나 있습니다.

  • 계절별 물가상승률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경기순환패턴
  • 금리조절방법

위 그림 하나로 보고서가5개 나옵니다.

교과내용에서 연결하여 작성하고

읽은 책이 있다면 더 훌륭하겠죠?

자세한 내용은 대학에 가서 배우고

지금은 기초개념을 확실히 아는 학생을

대학은 기다립니다.

혹, 난이도 높은 주제를 넣어야만

우수한 세특이고

SKY에 합격할 수 있다?

그럴수도 있지만

그렇게 작성한 세특은 면접에서

감당하시겠어요?

학생답게 담백하게 작성하는것이

이제 트렌드입니다.


오늘은 디플레이션에 대해서

요약해보겠습니다.

주제 : 왜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보다 무서울까?

디플레이션은 한 국가의 경제부분에서 재화와 용역의 가치가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분야가 특정산업이 아닌 전방위적으로 침체에 들어가는 것이죠

수요를 이끌어내는 소비자의 활동이 위축되고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재를 뒤로 미루고 선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급측면에서는 만들어도 팔리지 않으니 생산이 감소하고

즉 공급과 소비가 동시에 감소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위 그래프를 한번더 보면

물가상승률은 인플레이션입니다.

금리인상을 통해서 물가를 잡는데 그 수준이 정말 중요한데 급격한 통제는 디스인플레이션으로 넘어갑니다.

그 다음단계는 디플레이션이고요

https://www.mk.co.kr/news/world/10628894

파월 입에서 ‘디스인플레이션’ 나왔다 – 매일경제

美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 ‘베이비스텝'”금리 두어번 더 올릴것” 밝혔지만 시장선 정책변화 해석주요국 증시 환호 … 원화값 1220원, 10개월만에 최고치

www.mk.co.kr

– 실물 : 물가 하락 → 기업 투자 감소 → 임금 하락 → 소비 감소 → 경기침체

– 금융 : 통화 증발 → 신용경색 → 실질금리 상승 → 채무 부담 증가 → 자산매각 → 역 부의 효과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후 디플레이션은 다음 순서입니다.

(바뀌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전망은 가능한 지표가 있습니다.

이를 우리는 <기대인플레이션>지표라고 합니다.

그러면 왜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가?

일반적으로 시장의 통화량이 증가할 때 인플레이션이 발생됩니다.

반대로 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금리인상을 통한

시장의유동성 흡수가 진행될때

(빠르게 진행될때)

디플레이션이 발생됩니다.

소비는 위축되고,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됩니다.

(이는 당연한 부분이죠. 시장의 통화량이 줄어드니..희소성이 증가)

기업의 자금부족사태가 발생되고

신규투자의 중단, 소비자는 구입의 중단

즉 디플레이션이 발생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사례

1990년대의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물론 1929년 대공황도 있지만 너무 멀죠

2008년 서브프라임사태

*이는 정부의 직접개입으로 디플레로 전환은 되지 않았으나

경제학적으로는 디플레로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현재도 금리인상으로 통화량은 감소하고 있고

QT등 긴축정책을 사용하는 단게에서

언제든 디플레이션은 발생할 조건은 충족되어 있으나

3일전 발표한 미국의 GDP를 보면 상승중입니다

즉 현재는 조건은 가능하나

물가가 여전히 플러스인 상태이기에

디플레이션보다는 디스인플레이션 단계라고 보는것이

타당합니다.


디플레이션은 발생되지 않을 것인가?

이 부분은 민스키모멘트라는 이론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현재 시장의 유동성 축소에도 불구하고

시장자산의 가치는 상승중입니다.

따라서 민스키 모멘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민스키 모멘트 : 자산가격 상승 → 레버리지 투자 증가(담보대출 등) → 대출수요 확대 → 자산가격 재상승 → 한계상황 → 모멘텀 변화(민스키 모멘트) → 자산가격 폭락 → 대출상환 요구 증가 → 매물 증가 → 자산가격 재폭락 → 담보부족 발생 → 대차대조표 위기

조금더 설명하면?

◆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란 과도한 부채로 인한 경기 호황이 끝나고, 채무자의 부채상환능력 악화로 건전한 자산까지 팔기 시작하면서 자산가치가 폭락하고 금융위기가 시작되는 시기를 의미한다.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이먼 민스키가 주장한 ‘금융 불안정성 가설(Financial Instability Hypothesis)’에 따른 이론이다. 그는 금융시장이 내재적으로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금융시장에서 활동하는 경제 주체들은 비합리적인 심리와 기대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자산가격과 거품과 붕괴를 주기적으로 겪게 된다는 내용이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s://news.einfomax.co.kr)

마무리

12월은 고1, 고2 학생들의 세특이 마무리 됩니다.

절대 하지 말아야 할 내용은

“우리학교는 일반고라 어짜피 경쟁력 없어

그냥 내도, 신경써도 똑같아”

절대로 이런생각은 버리세요

왜 스스로를 낮추려고 하나요?

대입도 전략입니다. 내가 노력한만큼

반드시 대학에서 인정해줍니다

왜 특목자사고와 일반고를 비교하나요?

외고는 외고

국제고는 국제고

자사고는 자사고

일반고는 일반고

서로의 리그에서 이기면 됩니다.

더 궁금한 부분은 아래 링크로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gdIiTEif

https://spinel.world/%ea%b2%bd%ec%a0%9c%ea%b2%bd%ec%98%81-%ec%84%b8%ed%8a%b9%ec%a3%bc%ec%a0%9c-%ec%88%98%ed%99%95%ec%b2%b4%ea%b0%90-%ec%88%98%ed%99%95%ec%b2%b4%ec%a6%9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