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괄식표현

두괄식 표현 미괄식 표현 – 2024어문학 세특 자소서첨삭

두괄식표현

두괄식 표현과 미괄식 표현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세특, 자기소개서에 적용해봅니다.


두괄식 표현

표준 국어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글의 첫머리에 중심 내용이 오는 산문 구성 방식


한자 뜻을 풀어 보면 두괄(頭括)은 머리 ‘두’, 묶을 ‘괄’, 즉 머리에 내용을 묶어 두라는 말입니다.

두괄식 글쓰기는 말하고자 하는 핵심 내용을 첫 문장으로 쓰는 방법입니다.

읽는 이 입장에서 보면 글의 중심 생각이나 핵심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괄식 표현

표준 국어대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문학』 문단이나 글의 끝부분에 중심 내용이 오는 산문 구성 방식. ≒미괄형.

미괄식 표현은 말 그대로 내가 하고자 하는 목적을 마지막에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열린결말의 소설이나 시나리오, 그리고 논문발표시에 발표의 주된 내용을 마지막 결론에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두괄식

두괄식 표현의 장점

두괄식표현의 경우 영어문장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영어의 모든 문장은 주어+동사로 전달하고자 하는 주체와 행동이 앞에 나오게 된다. 따라서 영어원문책과 영자신문, 발표자료를 참고하면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제일 앞에 나오고 그 뒤로 부연설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독자에게 빠른 목적전달이 가능하고, 왜 이러한 글을 작성하였는지 이해되기 쉽다.

따라서 다양한 미디어매체를 통하여 전달하는 요즘 세대에 적합한 방식이다. 예를들어 유튜브의 숏츠영상의 경우 1분미만으로 진행되며, 많은 트래픽이 몰리는 영상의 경우에는 10초이내에 전달하고자 하는 표현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세특을 작성함에 있어서도 두괄식 표현은 매우 좋은 표현이다.

입사관의 서류심사시간은 일반적으로 15분~20분 이내에 수천명의 생기부를 읽게된다. 따라서 나의 스토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참신하고 유니크한 부분을 강하게 어필하기 위해서 두괄식 표현을 두고 작성하는 경우가 좋은 세특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두괄식 표현은 짧은시간에 정해진 시간에 나를 표현하기 가장 좋은 방법이다.


미괄식 표현의 장점

미괄식 표현은 주로 열린결말의 소설과 시나리오에 많이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또한 학술논문의 작성에는 저자의 표현하고자 하는 목적은 항상 마지막에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현재의 논문도 그러한 패턴이 많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경우 많이 사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미괄식 표현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감정을 표현할 때 – 미괄식 표현은 감정을 직설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감정을 묘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렇게 좋진 않은데…”라는 미괄식 표현은 거절하는 것보다 다소 부드러운 뉘앙스로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 타협할 때 – 미괄식 표현은 타협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그럴 수도 있겠죠…”라는 미괄식 표현은 상대방의 제안에 대해 동의하지 않더라도 타협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 존중할 때 – 미괄식 표현은 상대방의 감정과 존엄성을 존중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그게 크게 잘못된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라는 미괄식 표현은 상대방의 굳은 믿음을 존중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결과를 가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미괄식 표현은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황과 대화 상대방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두괄식 표현의 예 (미국 FRB의 보고서)

February 01, 2023

Federal Reserve issues FOMC statement

For release at 2:00 p.m. EST

Recent indicators point to modest growth in spending and production. Job gains have been robust in recent months, and the unemployment rate has remained low. Inflation has eased somewhat but remains elevated.

Russia’s war against Ukraine is causing tremendous human and economic hardship and is contributing to elevated global uncertainty. The Committee is highly attentive to inflation risks.

The Committee seeks to achieve maximum employment and inflation at the rate of 2 percent over the longer run. In support of these goals, the Committee decided to raise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to 4-1/2 to 4-3/4 percent. The Committee anticipates that ongoing increases in the target range will be appropriate in order to attain a stance of monetary policy that is sufficiently restrictive to return inflation to 2 percent over time. In determining the extent of future increases in the target range, the Committee will take into account the cumulative tightening of monetary policy, the lags with which monetary policy affects economic activity and inflation, and economic and financial developments. In addition, the Committee will continue reducing its holdings of Treasury securities and agency debt and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as described in its previously announced plans. The Committee is strongly committed to returning inflation to its 2 percent objective.

In assessing the appropriate stance of monetary policy, the Committee will continue to monitor the implications of incoming information for the economic outlook. The Committee would be prepared to adjust the stance of monetary policy as appropriate if risks emerge that could impede the attainment of the Committee’s goals. The Committee’s assessments will take into accoun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cluding readings on labor market conditions, inflation pressures and inflation expectations, and financial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s.

Voting for the monetary policy action were Jerome H. Powell, Chair; John C. Williams, Vice Chair; Michael S. Barr; Michelle W. Bowman; Lael Brainard; Lisa D. Cook; Austan D. Goolsbee; Patrick Harker; Philip N. Jefferson; Neel Kashkari; Lorie K. Logan; and Christopher J. Waller.

For media inquiries, please email media@frb.gov or call 202-452-2955.

Implementation Note issued February 1, 2023

위 내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 위원회의 보도자료입니다. 대표적인 두괄식 문장이며 제일 첫 문단에 이번 보도자료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함축되어있습니다.

“최근 지표는 지출과 생산이 완만하게 증가했음을 나타냅니다. 
최근 몇 달 동안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다소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주로 영어식 표현은 대부분 두괄식으로 진행되어서 빠른 전달과 분명한 목적을 이야기하고 스토리를 풀어나가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SNS등은 서구을 중심으로 트렌드가 확산되는것으로 판단됩니다

https://www.federalreserve.gov/newsevents/pressreleases/monetary20230201a.htm


두괄식 표현으로 세특과 자기소개서는 어떻게 준비하여야 하나?

뉴스 미디어 기업 ‘악시오스’ 창업자 짐 벤더하이의 책 <스마트 브레비티>에서 현대인의 인터넷에서 콘텐츠 소비시간은평균 26초, 클릭후 결정까지는 0.017초 걸린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을 단어로 풀이하면 150단어에서 200단어 내에서 모든 결정이 이루어진다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입시와 관련된 세특기재,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등 모든 자료들은 두괄식 표현으로 작성해야함은 반드시 지켜야할 요소라고 판단된다.

“해당학교의 좋은점과 역사적으로 전통이 있고 나는 이 학과에 와서 어떠한 활동을 할 것이고” 이러한 내용을 서두에 대부분 기재하는것이 일반적인 자기소개서입니다. (물론 최근에는 많이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기재하는것 보다는

나는 왜 해당학교 학과에 지원해야하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내가 그동안 준비하였던 과정을 통해 느끼고 경험한점을 기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당학교에서 해당전공에서 꼭 해보고 싶은 분명한 목표가 있는 학생이다(목적을 기술해야합니다) 그것을 위해서 어떠한 준비를 하였고, 기본소양등 그동안 꾸준히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준비한 학생입니다.

이렇게 기재하는것이 더 분명하겠죠?

2024학년도 세특 기획지도 학생들은 대부분 위와같은 형식으로 간결하고 분명한 전달을 해주도록 자기평가서를 준비하였습니다.

충분히 근거가 있는 보고서를 제출하고

규정에 맞게 자기평가서 첨삭을 통해서

1500바이트를 정확히 준비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해볼만 합니다.

오늘은 세특과 자기소개서등 기재하는 방법을 기본적으로 알아봤습니다.

위 주제는 언어와 매체에서도 충분히 연결시킬 수 있는 내용이며, 광고 미디어, 경제, 마케팅에서 확장된 세특주제를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의 탐구활동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